동부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부 전선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 사이에서 벌어진 일련의 군사 작전을 의미한다. 1914년 사라예보 사건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세르비아 선전포고로 전쟁이 시작되었고, 독일은 3제 동맹과 재보장 조약을 통해 러시아와의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나, 빌헬름 2세의 반러 정책으로 적대 관계가 되었다. 1914년 러시아는 동프로이센으로 진격했으나 탄넨베르크 전투에서 패배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갈리치아에서 러시아에 밀려났다. 1915년 독일은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를 통해 러시아군을 대규모로 후퇴시켰고, 러시아는 폴란드 지역을 상실했다. 1916년 브루실로프 공세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큰 피해를 입혔지만, 루마니아의 참전과 독일군의 반격으로 루마니아는 수도를 상실하고 몰도바 지역으로 후퇴했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케렌스키 공세 실패 이후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정권을 잡았다. 1918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통해 러시아는 막대한 영토를 상실하고 전쟁에서 탈퇴했으나, 이후 러시아 내전이 발발했다. 전쟁의 결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었고, 동유럽에는 여러 독립 국가가 탄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부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 타넨베르크 전투 (1914년)
1914년 동프로이센에서 독일 제8군이 러시아 제2군을 격파하며 러시아군의 침공을 저지한 타넨베르크 전투는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를 스타로 만들었으나 서부 전선의 취약성을 드러냈고 러시아군의 보급 및 지휘 문제와 독일군의 정보전이 승패에 영향을 미쳤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 우크라이나 - 브루실로프 공세
브루실로프 공세는 1916년 러시아가 주도한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공세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공격하여 초기에는 성공했으나 독일군의 증원과 보급 부족으로 실패했으며, 러시아 혁명에도 영향을 미쳤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 루마니아 -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의 루마니아
루마니아는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에 처음에는 중립을 유지하다가 연합국의 영토 약속을 받고 참전하여 동맹국에 패배했으나, 1918년 재참전하여 승리하고 영토를 확장했지만,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 조약 (1918년)
부쿠레슈티 조약 (1918년)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루마니아와 동맹국 간에 체결되어 루마니아의 영토를 할양하고 자원과 시설을 동맹국에 넘겨주는 내용을 담았으나, 루마니아의 반발과 휴전으로 무효화되었다.
동부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소 | 중앙유럽 및 동유럽 |
기간 | 1914년 8월 1일 ~ 1918년 3월 3일 |
결과 | 중앙 동맹국 승리 |
관련 분쟁 | 제1차 세계 대전의 유럽 전구의 일부 |
교전 세력 | |
동맹국 |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불가리아 왕국 (1916년–1917년) 오스만 제국 (1916년–1917년) |
연합국 | 러시아 제국 (1914년–1917년), 러시아 임시 정부 및 러시아 공화국 (1917년) 루마니아 왕국 (1916년–1917년) 세르비아 왕국 (1916년–1917년) 벨기에 (1915년–1917년) 영국 (1916년–1917년) 프랑스 제3공화국 (1916년–1917년) 소비에트 러시아 (1917년–1918년) |
지휘관 | |
동맹국 | 빌헬름 2세 (독일 제국) 파울 폰 힌덴부르크 (독일 제국) 에리히 루덴도르프 (독일 제국) 레오폴트 폰 바이에른 (독일 제국) 막스 호프만 (독일 제국) 프란츠 요제프 1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아르투어 아르츠 폰 슈트라우센부르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페르디난트 1세 (불가리아 왕국) 니콜라 제코프 (불가리아 왕국) 엔베르 파샤 (오스만 제국) |
연합국 | 니콜라이 2세 (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대공 (러시아 제국) 미하일 알렉세예프 (러시아 제국)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러시아 제국) 라브르 코르닐로프 (러시아 제국) 페르디난드 1세 (루마니아 왕국) 콘스탄틴 프레잔 (루마니아 왕국) 니콜라이 크릴렌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참전 부대 | |
동맹국 | 동프로이센 8군 (독일 제국) 10군 (독일 제국) 폴란드 9군 (독일 제국) 1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폴란드 군단 (폴란드) 갈리치아 2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3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4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11군 (독일 제국) 15군단 (오스만 제국) 우크라이나 인민군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9군 (독일 제국) 도나우 군 (독일 제국) 1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3군 (불가리아 왕국) 6군단 (오스만 제국) 해군 독일 해군 (발트해) 콘스탄티노플 해군 전대 (독일 제국 해군) 오스만 해군 (흑해) 도나우 전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 |
연합국 | 북부 전선 1군 (러시아 제국) 5군 (러시아 제국) 6군 (러시아 제국) 12군 (러시아 제국) 서부 전선 2군 (러시아 제국) 10군 (러시아 제국) 특수군 (러시아 제국) 남서부 전선 3군 (러시아 제국) 4군 (러시아 제국) 7군 (러시아 제국) 11군 (러시아 제국) 루마니아 전선 4군 (러시아 제국) 6군 (러시아 제국) 8군 (러시아 제국) 9군 (러시아 제국) 2군 (루마니아 왕국) 1군 (루마니아 왕국) 4군 (루마니아 왕국) 3군 (루마니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보헤미아) 1세르비아 사단 (세르비아 왕국) 벨기에 원정군 (벨기에) 원정군 (영국) 프랑스 군사 사절단 (프랑스 제3공화국) 해군 발트 함대 (러시아 제국 해군) 흑해 함대 (러시아 제국 해군) 흑해 함대 (루마니아 해군) 도나우 소함대 (루마니아 해군) 발트해 잠수함 소함대 (영국 해군) |
병력 규모 (1917년 10월) | |
동맹국 | 보병: 1,178,600명 기병: 39,000명 경포: 1,690문 중포: 2,230문 |
연합국 | 보병: 2,166,700명 기병: 110,600명 경포: 1,226문 중포: 1,139문 |
사상자 | |
동맹국 | 독일 제국: 1,612,089–2,000,000 사망: 317,118명 부상: 1,151,153명 포로: 143,818명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4,377,000–5,172,000 사망: 726,000–1,150,000명 부상: 2,172,000명 포로: 1,479,289–1,850,000명 오스만 제국: 45,000 사망: 8,000명 부상: 22,000명 포로: 10,000명 불가리아 왕국: 30,250 총합: 5,952,000–6,452,000+ 사망: 1,038,000–1,458,000명 |
연합국 | 러시아 제국: 6,500,000–9,000,000 루마니아 왕국: 535,700 사망: 335,706명 부상: 120,000명 포로: 80,000명 총합: ~7,035,700–8,054,569+ 사망: 1,110,706–2,590,100명 |
민간인 사망자 | |
러시아 제국 | 군사 작전으로 사망: 410,000명 전쟁 관련 원인으로 사망: 730,000명 |
루마니아 왕국 | 군사 작전으로 사망: 130,000명 전쟁 관련 원인으로 사망: 200,000명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군사 작전으로 사망: 120,000명 전쟁 관련 원인으로 사망: 467,000명 |
2. 배경
19세기 말, 독일 제국의 부상과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외교 정책은 유럽의 세력 균형을 변화시켰다. 독일은 프랑스를 고립시키기 위해 오스트리아, 러시아와 함께 삼제 동맹을 체결했으나, 발칸 반도 문제를 둘러싼 오스트리아와 러시아의 갈등으로 동맹은 와해되었다. 이후 독일은 오스트리아와 이국 동맹을 맺고, 이탈리아를 포함한 삼국 동맹을 체결하여 러시아와 프랑스를 견제했다.
독일의 팽창주의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악화시켰고, 러시아는 프랑스와 러불 동맹을 맺고, 영국과도 영러 협상을 체결하여 삼국 협상을 형성했다. 이는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대립 구도를 심화시켰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발칸 반도에서 범슬라브주의를 내세우는 세르비아와 갈등을 빚었고, 이는 러시아의 개입을 야기했다.[25] 특히 1908년 보스니아 위기는 슬라브 민족주의를 더욱 부추겼다.[29]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은 이러한 갈등을 폭발시켜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다.[24]
2. 1. 독-러 갈등의 심화
오토 폰 비스마르크 실각 이후, 빌헬름 2세는 팽창주의 정책을 추진하며 러시아와 갈등을 빚었다. 비스마르크가 체결했던 재보장 조약의 연장을 거부하는 등 반러 정책을 펼치면서, 양국 관계는 적대적으로 변해갔다.2. 2. 러시아의 삼국협상 조인
1894년 러시아는 독일을 견제하기 위해 프랑스와 러불 동맹을 맺었다. 이후 독일의 위협을 느낀 영국이 화려한 고립 정책을 중단하고 1904년 영불 협상과 1907년 영러 협상을 체결하며 협력 관계에 합류했다. 프랑스는 러시아의 공장과 철도 건설에 자본을 투자했고, 러시아는 프랑스로부터 군함, 야포, 항공기 등 많은 무기를 수입하며 양국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다. 장군단의 상호 방문과 교류를 통해 군사적 연계도 강화되었다.3. 1914년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상황은 전쟁 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다민족 국가로서, 남슬라브족의 통합 움직임은 제국에 큰 위협이었다.[26] 제국 내 700만 명이 넘는 남슬라브인들은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원했고, 이는 민족주의 고조와 함께 더욱 강해졌다.[27]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합병은 슬라브 민족주의를 더욱 자극했고, 세르비아와의 적대감을 키웠다.[29] 이러한 상황에서 세르비아 민족주의자 가브릴로 프린치프가 오스트리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를 암살하자, 오랜 갈등은 결국 전쟁으로 이어졌다.
루마니아 왕국은 발칸 제2차 전쟁에 참전하여 영토를 확장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는 중립을 유지했다.[32] 페르디난트 1세 국왕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러시아 양측과의 협상을 통해 최대한의 이익을 얻으려 했다. 결국 루마니아는 1916년 부쿠레슈티 조약을 통해 협상국에 가담하여 참전하기로 결정했다.[34]
전쟁 초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은 갈리치아 지역에서 러시아군에 밀려 후퇴했다.[101]
3. 1. 러시아군의 동프로이센 공세와 참패
프랑스-러시아 조약에 따라, 니콜라이 2세의 러시아군은 동원령을 내린 지 16일 이내에 독일군을 공격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군은 동원 후 불과 8일 만인 8월 7일에 국경을 넘어 동부 프로이센으로 진입했다. 파벨 칼로비치 레넨캄프 장군 휘하의 1개 군은 안게라프 강 동쪽으로, 알렉산드 바실리예비치 삼소노프 장군 휘하의 러시아군은 남쪽에서 프로이센 국경을 넘었다. 러시아군은 쾨니히스베르크 남방에서 독일군을 협공할 계획이었다.독일군 사령관 막스 폰 프리트비츠는 쾨니히스베르크로 후퇴하거나 비스튤라 강 이동의 모든 영토를 포기하려 했으나, 8월 20일 몰트케는 프리트비츠를 해임하고 에리히 루덴도르프 장군을 참모장에 임명했다. 파울 폰 힌덴부르크 장군이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8월 23일 부임했다.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는 병력을 남쪽의 삼소노프군에 집중 투입하는 작전계획을 채택했다. 레넨캄프의 군대가 내려오기 전에 남쪽의 러시아군을 섬멸한다는 계획이었으나, 3일간 레넨캄프의 군대는 움직이지 않았다. 루덴도르프는 “우리한테 싸움을 걸기만 했더라면 우리는 지고 말았을 것이다.”라고 회상했다.
이후 탄넨베르크 전투와 마주리 호수 전투에서 러시아군이 대패하면서 9월 중순쯤에는 동부 프로이센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은 사라졌다.
3. 1. 1. 탄넨베르크 전투

타넨베르크 근처에서 훈련, 화력, 전술 면에서 독일군의 상대가 되지 못한 삼소노프의 러시아 군대는 측면이 포위되어 참패했다.[37] 이 전투에서 10만 명 가까운 러시아군이 포로가 되었고, 삼소노프는 자결했다.
굼비넨 전투에서 패배한 후, 독일 제8군의 새로운 사령관이 된 파울 폰 힌덴부르크 원수는 러시아 제1군과 제2군의 협조 부족을 이용하여 각개격파를 계획했다. 힌덴부르크는 러시아 제1군에 대해서는 예비 군단 1개와 기병 사단 1개만 배치하여 방어하고, 굼비넨 부근에 있던 현역 군단 2개를 불러들여 주력으로 러시아 제2군을 섬멸하고자 했다.
독일군은 군단 2개를 탄넨베르크 부근에 배치하고, 굼비넨 부근에서 철도로 이동한 군단 2개를 각각 1개 군단씩 진지 양익에 배치하여 러시아 제2군을 포위하려 했다. 러시아 제2군은 8월 26일부터 탄넨베르크 부근 진지를 공격했으나 독일군에 포위되었다. 8월 30일, 호수와 삼림 지역에 몰린 러시아 제2군은 거의 섬멸되었다.
이 기간 동안 북쪽에 있던 러시아 제1군은 알레 호반에 정지하여 제2군을 구원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을 하지 않았다. 러시아 제1군이 제2군을 돕지 않은 이유에 대해, 소련의 젠코비치는 "제1군이 제2군에 협력과 지원을 제공하지 않은 주요 원인은 전선 사령부의 잘못된 상황 판단과 시기를 놓친 명령 배치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연락과 적정 정찰이 부족했던 결과로 발생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100]
3. 1. 2. 마주리 호수 전투
독일의 힌덴부르크 장군은 타넨베르크 전투에서의 승리 후, 병력을 북쪽으로 이동시켜 러시아 제1군을 섬멸하고자 제1차 마주리 호 공세를 시작했다. 독일군은 러시아군의 좌익을 기습하여 포위하려 했지만, 러시아 제1군은 제2군과 같은 실수를 두려워하여 자국으로 후퇴했다.[100]3. 2. 갈리치아 전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은 참모총장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장군의 지휘 아래, 키예프와 바르샤바를 잇는 전략적 철도를 목표로 진격했다. 그러나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갈리치아 깊숙이 후퇴했다.[101]1914년 9월과 10월, 독일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남부 폴란드와 갈리시아에서 대규모 반격을 시도했다. 러시아는 130만 병력의 7개 군으로 방어선을 형성했으나, 자재와 실탄 부족, 숙련된 장교들의 전사로 큰 타격을 입었다.
1915년 5월, 중앙 연합국은 러시아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갈리치아에서 고르리체-타르누프 공세를 개시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4. 1915년
사리카미슈 전투 이후, 러시아-튀르크 전선은 러시아군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튀르크군은 군대를 재편하고 갈리폴리 전투에 집중하느라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러시아는 다른 동부 전선에 신경을 써야 했다. 1915년 9월,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이 코카서스 총독 겸 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상황이 다시 활기를 띠었다.[42]
1915년 10월, 불가리아가 동맹국으로 참전하면서 독일에서 튀르크로 이어지는 육로가 열려 독일 무기가 튀르크에 공급될 수 있게 되었다.[42]
4. 1. 동맹국의 러시아 공세
1916년 연합국의 작전은 베르됭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대한 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독일군을 서부 전선에서 동부 전선으로 이동시킬 필요성에 따라 결정되었다. 이는 러시아군의 일련의 공세를 통해 달성될 예정이었으며, 이를 통해 독일군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 병력을 배치해야 했다. 그 첫 번째 작전은 1916년 3월~4월에 있었던 나로치 호 공세였다. 독일군은 공격을 격퇴했지만, 이 공세는 주요 목표를 달성했다. 독일군은 베르됭 공격을 중단시켜 프랑스군에게 휴식을 제공했다.나레우 전선에서 독일군 약 14개 사단은 7월 13일부터 러시아군을 공격하여 푸우츠스크(Pułtusk)와 로잔(Różan) 두 교두보를 점령했다. 남쪽의 막켄젠군과 함께 바르샤바 후방에 다가왔고, 폴란드 방면의 독일군도 정면에서 진격했다. 이 때문에 8월 1일 러시아군은 전선 전체를 카우나스・그로드노・브레스트-리토프스크 요새선으로 후퇴시켰다. 바르샤바와 이방고로드 두 요새는 5일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러한 대퇴각으로 1915년 작전은 일단락되었다.
4. 2. 고를리체-타르노프 공세
1915년 5월, 중앙 연합국은 러시아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갈리치아에서 고르리체-타르누프 공세를 개시했다.[39] 마주리 호수 제2차 전투 이후, 동부 전선의 독일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통합 사령부 아래 작전을 수행했다. 공세는 곧 전면적인 진격으로 이어졌고, 러시아군은 전략적인 대규모 후퇴를 감행했다. 독일군보다 훨씬 많은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군이 패배한 원인은 전술적 실수가 아니라, 특히 포병과 탄약 부족, 러시아 장교들의 부패와 무능력이었다.[39] 러시아의 군수 산업이 전쟁 물자 생산을 증가시키고 보급 상황을 개선한 것은 1916년에 이르러서였다.[39]4. 3. 러시아군의 대퇴각
러시아군은 나레우 전선에서 독일군의 공격을 받아 푸우츠스크(Pułtusk)와 로잔(Różan) 교두보를 상실했다. 남쪽에서는 마켄젠 군이 바르샤바 후방으로 접근했고, 폴란드 방면의 독일군도 정면으로 진격해왔다. 이로 인해 1915년 8월 1일, 러시아군은 전선을 카우나스(Kowno, 카우나스)・그로트노(Гродно, 그로드노)・브레스트-리토프스크(Brest-Litovsk) 요새선으로 후퇴시켰다. 바르샤바와 이반고로드(Ивангород) 요새는 5일 만에 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 이러한 대퇴각으로 1915년 작전은 일단락되었다.[43]5. 1916년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루마니아의 참전이 당황스러웠다고 회고했다. 1916년 9월 15일, 힌덴부르크는 "군대의 주요 임무는 이제 서부, 동부, 이탈리아, 마케도니아 전선의 모든 위치를 고수하고 루마니아에 대항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모든 병력을 사용하는 것이다."라는 명령을 내렸다.[54] 중앙 연합군에게는 다행스럽게도 루마니아군의 수와 질이 과대평가되었다. 50만 명에 달하는 루마니아군은 훈련이 부족하고 적절한 장비가 부족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영토에서 루마니아군의 초기 진격은 중앙 연합군에 의해 곧 저지되었다. 독일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북쪽에서 진격했고, 불가리아-터키-독일군은 남쪽에서 루마니아로 진군했다. 루마니아는 양방향으로 작전을 수행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당시 전술적 실수로 여겨졌다.[55] 11월 중순까지 독일군은 카르파티아 산맥을 통과했지만, 루마니아군의 결연한 저항으로 상당한 사상자를 냈다. 12월 5일, 불가리아군은 다뉴브 강을 건너 수도 부쿠레슈티에 접근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동쪽으로 이동하고 불가리아군이 북쪽으로 진군하는 동시에, 터키는 동쪽에서 바다를 통해 두 개의 사단을 도브루자로 보냈다.[56] 결국 루마니아군은 북부 몰도바의 시렛 강 뒤로 후퇴했다. 이후 루마니아는 연합군, 특히 1,000명이 넘는 장교, 의료 및 지원 직원으로 구성된 군사 사절단을 파견한 프랑스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5. 1. 브루실로프 공세

1916년까지 루마니아는 전쟁의 흐름을 관심 있게 지켜보면서 가장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려고 노력했다. 프랑스와 러시아 외교관들은 일찍부터 루마니아에 구애하기 시작했지만 설득 전술은 점차 강화되었다. 페르디난드 국왕이 50만 명의 군대를 투입하려면 연합군이 상당한 유인책을 제시해야 했다.[49] 연합군은 루마니아의 반헝가리 감정을 이용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트란실바니아(아르데알) 지역을 루마니아에 약속했다. 트란실바니아의 인구 통계는 루마니아인들에게 훨씬 유리했다. 루마니아는 1916년 8월 18일 연합군의 유혹에 넘어갔다.[50] 9일 후인 8월 27일, 루마니아군은 트란실바니아로 진군했다.
루마니아의 전쟁 참전은 독일군에게 중대한 전략적 변화를 가져왔다. 1916년 9월, 독일군은 동부 전선으로 이동했다. 또한 독일 참모총장 에리히 폰 팔켄하인 장군은 사임해야 했다. 하지만 후임자는 그를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장군과 함께 루마니아에 대항하는 중앙 연합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빌헬름 2세는 즉시 팔켄하인을 파울 폰 힌덴부르크로 대체했다.[51] 폰 힌덴부르크의 부관이자 더욱 능숙한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사실상 군대를 지휘하게 되었고 루마니아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9월 3일, 중앙 연합군의 첫 부대가 루마니아 영토로 진군했다. 동시에 불가리아 공군은 부쿠레슈티에 대한 끊임없는 폭격을 시작했다.[52]
일부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프랑스와 영국군은 솜 전투로 알려진 새로운 공세를 시작했고, 동부 전선에서는 브루실로프 공세가 계속되었다.
5. 2. 루마니아의 참전
1916년, 루마니아는 전쟁의 흐름을 주시하며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고자 했다. 프랑스와 러시아 외교관들은 루마니아를 설득하려 노력했고, 페르디난드 국왕은 50만 명의 군대를 투입하는 대가로 연합군에게 상당한 유인책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49] 연합군은 루마니아의 반(反) 헝가리 감정을 이용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트란실바니아 지역을 루마니아에게 약속했다. 트란실바니아의 인구 통계는 루마니아인들에게 유리했다.[50] 결국 루마니아는 1916년 8월 18일 연합군의 제안을 받아들였다.[50] 8월 27일, 루마니아군은 트란실바니아로 진군했다.
루마니아의 참전은 독일군에게 큰 전략적 변화를 가져왔다. 1916년 9월, 독일군은 동부 전선으로 이동했고, 독일 참모총장 에리히 폰 팔켄하인은 사임해야 했다. 빌헬름 2세는 팔켄하인을 파울 폰 힌덴부르크로 즉시 대체했다.[51] 힌덴부르크의 부관이자 실질적인 군대 지휘관이었던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루마니아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9월 3일, 중앙 연합국의 첫 부대가 루마니아 영토로 진군했고, 동시에 불가리아 공군은 부쿠레슈티에 대한 폭격을 시작했다.[52]
1916년 8월 27일 루마니아군은 트란실바니아를 공격했으나, 오스트리아 제1군은 시비우 부근의 산악 지대를 이용하여 방어했다. 이 사이 마켄젠이 이끄는 다국적군이 불가리아 방면에서 도브로자로 북진했고, 독일 제9군은 시비우에 병력을 집중시켜 반격을 시작했다. 독일 제9군은 시비우 부근 산악 지대에서 루마니아 제1군을 섬멸하고 제2군을 격파했다. 마켄젠군은 이에 호응하여 도나우 강을 건너, 12월 6일 독일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루마니아 수도 부쿠레슈티를 점령했다. 악천후와 러시아군의 지원으로 세레트 강 방어선에서 간신히 교착 상태에 이르렀지만, 루마니아군은 전군의 4분의 3을 상실했고, 국토의 대부분을 잃었다.[106]
6. 1917-1918: 혁명과 러시아군의 총체적 붕괴
1916년 이후 러시아군이 전쟁에서 패배할 운명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장군은 회고록에서 1916년 말까지 러시아군이 잘 훈련되었고 놀라운 업적을 달성했으며, 적의 우세한 병력을 격파했다고 주장했다.[58] 윈스턴 처칠 또한 러시아군의 강점을 확인하며, 러시아가 항구가 보이는 곳에서 끌려갔고 폭풍이 지나간 후 난파되었다고 비유했다.[59] 세르게이 올덴부르크는 1917년 초 러시아군이 최상의 상태였으며, 군수 물자, 병력, 대포 수에서 오스트리아-독일군보다 우세했다고 주장한다. 중앙 연합군의 군대조차도 러시아군의 상태와 전투력을 높게 평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적 성공은 2월 혁명 이후 무산되었는데, 이 혁명은 군대의 사기를 꺾고 엄청난 탈영 사태를 야기했다. 2월 혁명 이후에도 러시아군의 대부분은 온전한 상태를 유지했고 전선에서 방어전에는 의욕적이었지만 공세에는 비효율적이었다. 혁명 이후 병사들의 요구는 주로 장교들이 가지고 있던 특정 권한을 축소하는 것이었고, 많은 병사들이 여전히 방어전을 지지했다. 후방 부대는 전선 부대보다 즉각적인 평화를 요구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상당한 규모의 탈영은 10월 혁명 이후에야 시작되었고, 볼셰비키와 독일인 간의 평화 협상이 결렬된 1918년 2월에 가속화되었다.[63]
1917년 7월 초, 루마니아 전선에서 9개 군, 보병 사단 80개, 기병 사단 19개, 포병대대 923개, 총 80만 명의 병력이 동원되었다. 7월 말부터 9월 초까지 루마니아군은 머러슈 전투, 머러셰슈티 전투, 오이투즈 제3차 전투를 치렀고, 독일-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진격을 저지하는 데 성공하여 큰 피해를 입히고 1917년 동부 전선에서 가장 중요한 연합군의 승리를 거두었다.[64]
1917년 9월 1일 폰 후체르가 지휘하는 독일 제8군은 리가를 목표로 도하 작전을 실시했다. 우세한 포병과 독가스탄에 의해 러시아군 포병은 제압되었고, 1917년 9월 4일까지 독일군은 리가를 점령하고 러시아군에 막대한 손해를 입힐 수 있었다.
10월 혁명 이후 러시아는 혼란에 휩싸였고, 1918년 3월 3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통해 전쟁에서 이탈하게 된다.
6. 1. 2월 혁명
2월 혁명으로 러시아에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러시아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63] 연합군이 러시아 임시 정부에 동부 전선에서의 공세를 요구하자, 4월 20일 밀류코프 외무장관은 승리 후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의 할양을 조건으로 7월 공세에 나설 것을 연합국에 독단적으로 약속했다.()6. 2. 케렌스키 공세
2월 혁명으로 러시아 임시 정부가 수립된 후, 연합군은 러시아 임시 정부에 동부 전선에서의 공세를 요구했다. 1917년 4월 20일, 밀류코프 외무장관은 승리 후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의 할양을 조건으로 7월 공세에 나설 것을 연합국에 독단적으로 약속했다.1917년 5월 19일,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육해군 장관에 취임하여 공세 작전에 나설 의지를 굳혔다. 총사령관에는 제정 러시아 시대 장교 알렉세이 브루실로프를 임명했다. 브루실로프는 1917년 7월 공세의 목표로 리비우를 설정하고, 브루실로프 공세와 마찬가지로 광범위한 전선에서의 돌파를 시도하는 작전을 세웠다.
2월 혁명 전후로 전선에서는 탈영병이 급증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군의 병력은 650만 명으로 연합군을 웃돌았다. 1917년 6월 18일 공세가 시작되었고, 러시아군은 동갈리시아에서 독일-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전선을 붕괴시켰다. 이대로 계속 진격할 것처럼 보였지만, 1917년 6월 20일 이후 갑자기 전선 병사들, 특히 돌격 부대가 전진을 거부하기 시작했다. 전쟁 혐오 분위기로 인해 많은 병사들이 더 이상의 전쟁 지속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독일-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1917년 7월 6일에 반격에 나섰기 때문에 전선은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 버렸다.
케렌스키는 브루실로프를 해임하고 라브르 코르닐로프(Лавр Корнилов)를 임명했지만, 코르닐로프는 전력의 보존을 결정하고 공세를 중단했다. 1917년 7월 19일, 독일군은 동부군 참모장 막스 호프만(Max Hoffmann)의 지휘하에, 즈워추프(Złoczów)에서 공세를 개시했다. 약 20km에 걸쳐 러시아군 전선이 붕괴되었다. 러시아 병사들은 패주했고 궤멸 직전의 상태가 되었다. 갈리치아 동부에서도 오스트리아군의 공격이 시작되어, 1917년 7월 29일 타르노폴(Tarnopol)이 점령되었다. 한편, 러시아 국내에서는 볼셰비키에 의한 무장 시위(7월 혁명)가 1917년 7월 16일에 발생하여, 1917년 7월 20일까지 수일에 걸쳐 혼란이 계속되었다.
6. 3. 10월 혁명
10월 혁명으로 케렌스키 정권이 볼셰비키에 의해 타도되었다. 같은 시기에 당시 러시아 영토였던 우크라이나에서는 볼셰비키(소비에트파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와 임시정부파(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중앙라다)가 충돌하였고(, 1917년 11월 8일 – 1921년 11월 17일), 혁명 정부가 이에 개입하려 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이 발발했다.혁명으로 수립된 소비에트 정부는 이 우크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급히 연합군과의 강화에 몰렸다. 12월 22일, 소비에트 정부와 연합국 측의 휴전 1주일 후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서 강화를 위한 협상이 시작되었다.
6. 4.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1917년 10월 혁명으로 수립된 소비에트 정부는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을 해결하기 위해 연합군과의 강화에 몰두했다. 1917년 12월 22일, 소비에트 정부와 연합국 측은 휴전을 맺고 일주일 후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서 강화 협상을 시작했다.[58]1918년 2월 9일, 반볼셰비키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과 중앙 연합국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Treaty of Brest-Litovsk (Ukraine–Central Powers))을 체결했다.
그러나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1918년 2월 18일 독일군은 소비에트 정부에 대한 공세를 재개했다. 10월 혁명 이후 혼란으로 인해 러시아군은 거의 해체된 상태였고, 독일군은 민스크를 함락시키고 페트로그라드까지 접근했다.[58]
독일 측은 소비에트 정부에 가혹한 조건을 제시했고, 볼셰비키 내부에서도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지만, 결국 레닌의 즉각 강화론이 채택되었다.
1918년 3월 3일, 양측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Treaty of Brest-Litovsk (Bolshevik government–Central Powers))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총인구의 3분의 1, 경작지와 철도망의 4분의 1, 석탄과 철 생산의 4분의 3을 잃었다.[58]
6. 5. 러시아 내전
2월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타도되었지만,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는 만족하지 않았다. 그들은 새로운 임시 정부가 이전 정부의 연장선일 뿐이며, 전쟁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에서 철수하기를 거부한다고 보았다. 1917년 9월, 레닌은 노동자와 농민이 국가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획득할 수 있는 두 번째 혁명을 옹호하기 시작했다. 볼셰비키 당 중앙위원회는 10월 10일에 소집되어 무장 봉기를 계획하기로 결정했다. 볼셰비키에 충성하는 군대는 전신국, 발전소, 전략적 다리, 우체국, 기차역 및 국영 은행을 장악했다.페트로그라드는 공식적으로 볼셰비키의 손에 들어갔고, 그들은 페트로그라드 전역의 공장 단체와 많은 병영에서 조직을 크게 확장했다. 그들은 쿠데타를 통해 임시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1917년 11월 7일 저녁, 볼셰비키 군대가 겨울궁전에 침투하여 거의 무혈 쿠데타로 러시아의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다. 레닌은 새로운 볼셰비키 정부가 즉시 전쟁 종식을 추구하고, 노동자 민주주의 체제를 시행하며, 모든 농장과 공장의 집단 소유를 수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10월 혁명으로 케렌스키 정권이 볼셰비키에 의해 타도되었다. 같은 시기에 당시 러시아 영토였던 우크라이나에서는 볼셰비키(소비에트파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와 임시정부파(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중앙라다)가 충돌하여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1917년 11월 8일 – 1921년 11월 17일)이 발발했다.
혁명으로 수립된 소비에트 정부는 이 우크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급히 연합군과의 강화에 몰렸다. 1917년 12월 22일, 소비에트 정부와 연합국 측의 휴전 1주일 후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서 강화를 위한 협상이 시작되었다.
1918년 2월 18일, 독일군은 우크라이나와의 조약 체결 이후 소비에트 정부에 대한 공세를 재개했다. 10월 혁명 이후 혼란의 영향으로 러시아군은 거의 해체되었고, 독일군은 민스크를 함락시키고 페트로그라드에 다가섰다.
1918년 7월 17일 로마노프 왕조 처형.
1918년 8월 30일 레닌 암살 미수 사건.
7. 결과 및 영향
2월 혁명으로 차르가 타도되었지만, 볼셰비키들은 새로운 임시 정부가 이전 정부의 연장일 뿐이며, 전쟁에서 철수하기를 거부한다고 보았다. 1917년 9월, 레닌은 노동자와 농민이 국가를 완전히 통제하는 두 번째 혁명을 옹호했다.[59] 볼셰비키는 쿠데타를 통해 임시 정부를 전복하고 러시아의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다.[60] 레닌은 새 정부가 즉시 전쟁 종식을 추구하고, 노동자 민주주의 체제를 시행하며, 모든 농장과 공장의 집단 소유를 수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레닌의 볼셰비키 정부는 1917년 12월 15일 휴전을 통해 전쟁을 종식시키려 했다. 그러나 독일과의 평화 협상은 결렬되었고, 중앙 연합국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군사 조약을 체결했다.[61] 러시아 내전은 3년 동안 러시아를 분열시켰다. 니콜라이 2세의 몰락과 함께 러시아 제국의 많은 지역이 독립을 선언했는데, 그중 하나가 1917년 12월 독립을 선언한 핀란드였다. 핀란드는 핀란드 내전에 휘말렸지만, 1918년 4월 독일 원정대의 지원을 받은 핀란드 백군이 승리했다.
7. 1. 동유럽의 지정학적 변화
1918년 10월 28일,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했다.[65]1918년 10월 29일, 보이보디나 중 스렘 지역이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11월 1일, 바나트 공화국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였으나, 11월 15일 세르비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11월 24일, 스렘이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 국가에서 이탈하여 세르비아 왕국에 합류했다. 11월 25일, 세르비아 왕국은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 국가를 흡수하여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을 성립시켰다. 12월 1일, 루마니아 왕국이 바나트의 대부분(티미슈주, 카라슈-세베린주, 아라드주, 메헤딘치주)을 병합했다.
1918년 11월 11일, 폴란드 공화국이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후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1918년 11월 1일-1919년 7월 17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1919년 2월 14일 - 1921년 3월 18일), 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1919년 봄 - 1920년 11월 29일), 실레시아 봉기(1919년 - 1921년)가 발발했다.
1918년 11월 16일, 헝가리의 자유주의자 카로이 미하이 백작 등이 헝가리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 정권은 국내 혼란을 수습하지 못했고, 루마니아 왕국의 트란실바니아 합병이 겹치면서 쿤 벨라 등의 헝가리 공산당이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을 수립했다.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은 슬로바키아 탈환을 목표로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으나, 루마니아군의 본격적인 침공으로 부다페스트가 함락되면서 호르티 미클로시 등에 의한 헝가리 왕국이 수립되었다.
7. 2. 전후 처리
독일 혁명, 콩피에뉴 숲의 휴전 협정, 파리 강화 회의, 생제르맹 조약, 뇌이 조약, 트리아농 조약, 라팔로 조약7. 3. 새로운 분쟁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는 러시아 내전과 여러 국가 간의 국경 분쟁에 휩싸였다. 1917년 11월, 레닌의 볼셰비키 정부는 1917년 12월 15일 휴전을 통해 전쟁을 종식시키려 했다. 그러나 독일과의 평화 협상은 결렬되었고, 중앙 연합국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군사 조약을 체결했다.1918년 3월 3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체결되면서 동부 전선은 더 이상 전쟁 지역이 아니게 되었다. 이 조약으로 소비에트 러시아는 이전 제국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잃었다.

1918년 5월 7일, 루마니아는 부쿠레슈티 조약을 체결했으나, 페르디난드 1세는 연합국의 승리를 기대하며 조약 서명을 거부했다. 루마니아는 1918년 11월 10일 연합국 편에 다시 참전했고, 부쿠레슈티 조약은 무효화되었다.
중앙 연합국의 항복 이후, 동부 국가들은 이 상황을 이용했다. 소비에트 러시아는 평화 조약을 파기하고 발트 국가, 벨라루스, 우크라이나를 공격했다. 루마니아는 전쟁에 재참전했고, 헝가리와 분쟁을 벌였다.
1918년 11월 11일, 폴란드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했다.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 실레시아 봉기 등이 발발했다.
1918년 11월 16일, 헝가리는 헝가리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고 독립을 선언했으나, 국내 혼란과 쿤 벨라 등 헝가리 공산당에 의한 헝가리 공산주의자 공화국 수립, 체코슬로바키아 침공과 루마니아군 침공으로 붕괴되었고, 호르티 미클로시 등에 의한 헝가리 왕국이 수립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Longman Companion to European Nationalism 1789-1920
Routledge
[2]
서적
Germany 1916-23: A Revolution in Context
transcript Verlag
[3]
서적
The World Crisis
https://books.google[...]
Thornton Butterworth
[4]
문서
Sanitatsbericht uber das Deutsche Heer (Deutsches Feld- und Besatzungsheer) im Weltkrieg 1914-1918
[5]
문서
Erforschung der Menschenverluste Österreich-Ungarns im Weltkriege 1914–1918
Austrian State Archive, War Archive Vienna, Manuscripts, History of the First World War, in general, A 91
[6]
서적
Россия в мировой войне 1914—1918 (в цифрах)
ЦСУ
[7]
간행물
Hungarian Prisoners of War in Russia 1916–1919
[8]
문서
The most common data on Austrian prisoners vary from 1,800,000 to 1,950,000
[9]
서적
Ordered to die : a history of the Otto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10]
웹사이트
Campaigns, Galicia
2008-09-25
[11]
웹사이트
turkeyswar, Campaigns, Eastern Europe.
http://www.turkeyswa[...]
2011-04-14
[12]
웹사이트
turkeyswar, Campaigns, Eastern Europe.
http://www.turkeyswa[...]
2011-04-14
[13]
서적
Healing the Nation: Prisoners of War, Medicine and Nationalism in Turkey, 1914–1939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4]
문서
Министерство на войната
[15]
문서
Добричката епопея. Историко-библиографски справочник
[16]
서적
The World War I Databook: The Essential Facts and Figures for all the Combatants
Aurum Press
[17]
서적
Poteri narodonaseleniia v XX veke : spravochnik
Moscow
[18]
서적
Poteri narodonaseleniia v XX veke : spravochnik
Moscow
[19]
서적
Poteri narodonaseleniia v XX veke : spravochnik
Moscow
[20]
웹사이트
Brusilov Offensive Begins
http://www.history.c[...]
history.com
2021-08-14
[21]
학술지
Brusilov's Offensive: The Galician Battle of 1916
[22]
서적
The Imperial Russian Army in Peace, War, and Revolution, 1856–1917
University Press of Kansas
[23]
서적
The Red Army, 1918–1941: From Vanguard of World Revolution to America's Ally
Taylor & Francis
[24]
서적
Austria-Hungary and the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St. Martin's Press
[25]
서적
The Dissolution of the Austro-Hungarian Empire 1867–1918
Longman Group Limited
[26]
학술지
The Situation in Austria-Hungary
[27]
서적
The Dissolution of the Austro-Hungarian Empire 1867–1918
Longman Group Limited
[28]
서적
The Dissolution of the Austro-Hungarian Empire 1867–1918
Longman Group Limited
[29]
서적
Austria-Hungary and the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St. Martin's Press
[30]
학술지
Austria-Hungary and Serbia
1915-06
[31]
학술지
Austria-Hungary and Serbia
1915-06
[32]
서적
The Balkans: Roumania, Bulgaria, Serbia and Montenegro
T. Fisher Unwin Ltd
[33]
서적
Rumania:1866–1947
Clarendon Press
[34]
서적
the First World War
Random House Inc.
[35]
서적
The First World War: A Complete History
https://archive.org/[...]
Henry Holt and Company
[36]
서적
the First World War
Random House Inc.
[37]
웹사이트
Battle of Tannenberg (World War I)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4-03-05
[38]
서적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American Heritage
2014-03-05
[39]
서적
Русский фронт Первой мировой войны. Потери сторон 1915
[40]
서적
Записки. Северо-Западный фронт и Кавказ (1914-1916)
[41]
서적
[42]
서적
Essential Histories: The First World War, The Eastern Front 1914–1918
Osprey Publishing
[43]
서적
Essential Histories: The First World War, The Eastern Front 1914–1918
Osprey Publishing
[44]
서적
The First World War
Random House Inc.
[45]
서적
The First World War
Random House Inc.
[46]
학술지
Austria-Hungary and the Brusilov Offensive of 1916
[47]
학술지
Romania in the First World War: The Years of Neutrality, 1914–16
[48]
서적
War Memoirs
Odhams
[49]
서적
The Myth of the Great War
Perennial
[50]
서적
The Myth of the Great War
Perennial
[51]
서적
The First World War: A Complete History
Henry Holt and Company
[52]
서적
The First World War: A Complete History
Henry Holt and Company
[53]
서적
Out of My Life, Vol. I
Harper & Brothers
[54]
서적
The First World War: A Complete History
Henry Holt and Company
[55]
서적
The Myth of the Great War
Perennial
[56]
서적
The First World War
Random House Inc.
[57]
서적
The Myth of the Great War
Perennial
[58]
서적
Правда о войне 1914-1918 гг.
[59]
서적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60]
서적
Артиллерия русской армии 1900-1917
[6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62]
서적
Россия-щит Антанты
Питер
[63]
학술지
The Russian Soldier in 1917: Undisciplined, Patriotic, and Revolutionary
[64]
서적
România în anii primului război mondial
[65]
웹사이트
Red Army – Soviet history
https://www.britanni[...]
2016-10-22
[66]
웹사이트
Treaties of Brest-Litovsk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LLC
2009-11-09
[67]
서적
World War I
[68]
서적
Women at the Gates: Gender and Industry in Stalin's Rus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Potarnichile gri. Spitalele Femeilor Scotiene in Romania (1916–1917)
Cetatea de Scaun
[70]
서적
Potarnichile gri. Spitalele Femeilor Scotiene in Romania (1916–1917)
Cetatea de Scaun
[71]
서적
With the Scottish Nurses in Roumania
John Murray
[72]
서적
European Culture in the Great War:The Arts, Entertainment and Propaganda 1914–191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학술지
United by Barbed Wire: Russian POWs in Germany, National Stereotyp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http://muse.jhu.edu/[...]
2014-02-14
[74]
학술지
Prisoners of War on the Eastern Front during World War I
http://muse.jhu.edu/[...]
2014-03-18
[75]
서적
The Russian Army and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Tempus
[76]
웹사이트
WWI Casualties and Deaths
https://www.pbs.org/[...]
PBS
2014-03-07
[77]
문서
Россия в мировой войне 1914-1918 гг. (в цифрах). – М., 1925. С. 4.
[78]
문서
Количество русских солдат - участников войны 1914-1917 гг. (по архивным данным) // военное дело. 1918 N17 С.19
[79]
문서
Ураланис Б. Войны и народонаселения европы p.146
[80]
웹사이트
Россия и СССР в войнах XX столетия. Потери вооружённых сил: Первая мировая
http://www.lib.ru/ME[...]
[81]
문서
Блюментрит Г. Роковые решения. – М.:Воениздат, 1958. С. 73.
[82]
서적
The War of the World
Allen Lane
[83]
뉴스
Playing the blame game
http://www.praguepos[...]
Prague Post
2005-07-06
[84]
서적
The Great War 1914–18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85]
문서
Sanitatsbericht fiber das Deutsche Heer... im Weltkriege 1914–1918
Berlin
[86]
서적
The World Crisis
https://books.google[...]
Thornton Butterworth
[87]
문서
Erforschung der Menschenverluste Österreich-Ungarns im Weltkriege 1914–1918
Austrian State Archive, War Archive Vienna
[88]
학술지
Hungarian Prisoners of War in Russia 1916–1919
[89]
서적
Ordered to die : a history of the Otto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90]
웹사이트
Campaigns, Galicia
turkesywar.com
2008-09-25
[91]
서적
Healing the Nation: Prisoners of War, Medicine and Nationalism in Turkey, 1914–1939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92]
문서
Министерство на войната (1939), p. 677 (in Bulgarian)
[93]
문서
Симеонов, Радослав, Величка Михайлова и Донка Василева. Добричката епопея. Историко-библиографски справочник, Добрич 2006, с. 181 (in Bulgarian
[94]
웹사이트
Rossiia i SSSR v voinakh XX veka : poteri vooruzhennykh sil : statisticheskoe issledovanie
http://www.rus-sky.c[...]
OLMA-Press
[95]
문서
Die Kriegsgefangenschaft von den ältesten Zeiten bis zur Gegenwart
Berlin
[96]
서적
The World War I Databook: The Essential Facts and Figures for all the Combatants
Aurum Press
[97]
서적
Poteri narodonaseleniia v XX veke : spravochnik
Moscow
[98]
서적
Poteri narodonaseleniia v XX veke : spravochnik
Moscow
[99]
서적
Poteri narodonaseleniia v XX veke : spravochnik
Moscow
[100]
서적
第一次世界大戦〈下〉
[101]
문서
レンベルク
[102]
서적
大戦間に於ける英仏露連合作戦
参謀本部
[103]
서적
The Russian Army 1914-18
[104]
서적
第一次世界大戦〈上〉
[105]
서적
The Russian Army and the First World War
[106]
서적
第一次世界大戦〈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